우리집은 날이 추워지면 육개장을 자주 만들어 먹는 답니다.
육개장은 개고기가 원조인데 개고기를 꺼리거나 귀해져서 대신
저희 식구들은 닭고기를 넣으면 안좋아해서 늘 쇠고기로만 ...
하루 전에 육슈만 만들어 놓아도 나머지는 금방 해결할 수 있어요.
아래 사진의 양파, 파뿌리, 질겨서 못 먹는 무도 넣고
덩어리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한 시간을 넘어 젓가락으로 푹 찔러보아 쑥 들어 갈 정도로 고기가 연해지면
나머지 야채로는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오늘은 고사리,파,무,당근,숙주 ,청양고추...
대파가 없어 작은 파로 대신하고 파와 숙주는 살짝 데쳐 놓아요.
제가 고사리를 좋아해서 육개장엔 꼭 고사리를 넣습니다.
딱딱하고 두께가 제법 있는 부분도 버릴 게 하나 없이 부드럽게 잘 씹힌답니다.
예전에 북한산인지 고사리는 아무리 익히고 불려도 질겨서 버리는 부분이 많았는데
단 여기서는 반찬이 아니라 곰의 먹이라서 함부로 채취할 수는 없는게 단점이죠.
아마 불법 아니면 허가받고 일정한 곳에서 채취하거나 할 거에요.
마른 고사리는 물에 불려 푹 익힌 다음 다시 물에 담갔다가
육개장에 된장을 넣거나 맹물 아니면 사골 국물로도 끓이는데
조선간장, 다진 마늘, 후추, 고추기름 ,다대기(없으시면 고춧가루로 대체), 참기름 아주 조금 넣어 조물조물 간을 베게 한 다음
냄비에 넣고 살짝 볶다가 뜨거운 육수를 넣고 펄펄 끓여요.
어느정도 무가 물러지면 양념을 한 고사리를 넣고 다시 끓이고 완성되기 직전에
간은 조선간장으로 양념을 했으니 아주 살짝만 보시면 될 거에요.
육수는 넉넉히 만들어 놓았다가 추가로 보충할 수도 있고 간이 짤 경우 보충할 수 있을 정도로...
이렇게 약간 데쳤다가 살짝 넣어주면 아삭한 맛도 살고 풋내도 안 나고 일석이죠에요.
안에 들어 가는 야채는 가짓수를 한 두 가지로 줄이고 대신 고기를 아주 많이 넣거나 해도 되고
사골국물로 할 경우엔 진한 맛이 나고 기름이 뜨는 게 싫다면 고추기름을 빼고
이렇게 한 그릇 요리를 하게 되면 다른 반찬을 만들지 않아도 되는 점이 좋아 자주 만들어요.
'food > coo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♥ 밥이 술술 넘어가는 매콤한 멸치 무조림 만들기 (18) | 2013.11.25 |
---|---|
♥ 입천장이 데어도 먹고 싶은 뜨끈뜨끈 육개장 (18) | 2013.11.21 |
♥ 꽃보다 예쁘고 화려한 약식 케이크를 만들어요. (11) | 2013.09.10 |
♥ 밥으로 떡 만들기. 제빵기에 밥을 넣으니 쫄깃한 인절미가 ~ ^^* (2) | 2013.09.10 |
♥ 아들은 행복해 ~ , 엄마표 〈하트 만발 도시락 〉 (4) | 2013.07.30 |
♥ 방학중인 아이 점심 도시락 , 김가루에 또르르 굴리면 끝 (4) | 2013.07.30 |
대박 너무 맛나보여요..아침부터 먹고싶네요
아침에 먹는다고 누가 뭐라 안하는데 ㅎㅎ
후루룩 짭짭~~~ 정말 따끈할때 먹는 맛이 최고인 육계장이죠.. 국물에 밥 말아서 먹고 싶어집니다.
밥 말아 먹는 게 필수에요 ㅋㅋ
정말 요즈음 같은 날씨에 뜨끈한 육개장 한그릇 하고 싶네요ㅑ.ㅎ
점점 날은 춥고 입맛은 뜨거운 걸 찾게되고 ...^^*
너무 맛있을 것 같아요^^
물론 맛있죠 ~
와.. 너무 먹고 싶네요 ㅠㅠ
얼큰한 거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권합니다 ^^*
와 ~ 군침이 돕니다. 사진도 정말 멋지게 찍으시네요^^
댓글 쓰기가 안되더라구요-.-
너무너무 맛나보이네요 ㅎㅎ
완전 생각납니다 ^^
추울 때 딱입니다 ^^*
자주는 싫고 가끔 정말 주울때 먹으면 맛있다죠~
맛있게 요리된 육개장 잘 보고 갑니다.
즐거운 주말 보내세요~^^
아무리 맛있어도 자주 먹으면 질리죠.
그래도 한국엔 다양한 식당들이 즐비해서
돌아가며 먹는 재미도 있잖아요 ㅎㅎ
비밀댓글입니다
감사합니다.
편안한 주말 보내세요~